- 목차
발신자번호표시제한 방법, 요즘은 전화 오는 것도 받기 전에 살짝 긴장되죠? 모르는 번호 뜨면 ‘이거 스팸인가? 보이스피싱인가?’ 싶은데, 반대로 내가 전화를 걸 때도 내 번호가 상대방에게 안 뜨게 하고 싶을 때가 있잖아요?
그래서 그래서 요즘 은근히 필요한데 다들 잘 모르는 기능, 제가 쉽게 바로 알려드릴게요.
이거 은근히 몰라서 못 쓰는 분들 많으시더라고요. 제가 아주 천천히, 자세히, 쉬운 말로 쫙 풀어드릴게요. 이 글 한 번 읽어두시면 두고두고 요긴하게 쓰실 수 있어요.
간단하게 번호 숨기는 방법
제일 많이들 쓰시는 게 바로 스마트폰으로 걸 때 내 번호 안 보이게 하는 거죠. 이게 딱 두 가지 방법이 있어요. 하나는 '한 번만' 숨기기, 다른 하나는 '계속' 숨기기. 이 두 가지가 핵심이에요.
일단 한 번만 숨기고 싶은 경우에는요, 전화번호 앞에 **#31#**을 붙이시면 돼요. 예를 들어서 010-1234-5678한테 전화 걸 거면, #31#01012345678 이렇게 입력하고 통화 누르시면 돼요.
이게 발신자번호표시제한 방법 중 제일 간단하면서도 효과가 확실한 거예요. 상대방한테는 ‘번호 없음’, ‘발신자 제한’ 이렇게 떠요. 신기하죠?
근데 나는 자주 숨겨야 한다, 계속 숨기고 싶다 하시는 분들은 조금 다르게 하셔야 돼요.
안드로이드 폰 쓰시는 분들은 전화 앱 켜시고, 오른쪽 위에 점 세 개 있는 메뉴 누르셔서 ‘설정’ 들어가세요. 그 다음 ‘통화 설정’이나 ‘추가 설정’, ‘발신자 ID’ 이런 항목을 찾으시면 돼요. 기기마다 조금 다를 수 있어요. 거기서 ‘내 번호 표시 안 함’으로 설정해주시면, 앞으로 거는 모든 전화에 자동으로 발신자번호가 안 뜨는 거예요. 이게 진짜 발신자번호표시제한 방법의 기본 중 기본이에요.
아이폰도 걱정 마세요
아이폰 쓰시는 분들도 가능하냐고요? 당연하죠~ 설정 앱 열고 ‘전화’로 들어가신 다음, 아래로 쭉 내리면 ‘나의 발신번호 표시’라는 메뉴가 있어요.
거기서 스위치 꺼주시면 끝! 이제부터 전화를 걸어도 상대방 폰에 번호가 안 나와요. 이렇게 간단한 발신자번호표시제한 방법이 있는데, 몰라서 못 쓰는 분들이 너무 많더라고요. 설정 한 번만 해두면 정말 편해요.
일반 유선전화는 어떻게 하냐고요?
혹시 아직 집전화나 사무실 유선전화 쓰시는 이웃님들 계시죠? 그것도 가능해요~ 일반 전화에서도 발신자번호표시제한 방법이 있어요.
방법은 통신사마다 살짝 다른데, 가장 흔한 게 바로 ***23#**이에요. 대부분 이 방법 쓰거든요. 마찬가지로 전화번호 앞에 *23# 붙이고 통화하면 내 번호가 상대방한테 안 보여요.
예를 들면 *23#02-1234-5678 이렇게요.
다만, 이건 통신사에서 ‘발신번호표시제한 부가서비스’가 활성화돼 있어야 해요. 안 돼 있으면 고객센터 전화해서 ‘발신번호 숨기기 서비스 좀 해주세요~’ 하면 바로 등록해줘요. 무료로 해주는 경우도 많으니까, 꼭 한번 문의해보세요.
내가 숨기고 싶은 이유, 상황에 따라
이 기능이 왜 필요하냐고 하시는 분들도 계시는데요, 저 같은 경우는요, 예전에 중.고거래 하면서 번호 노출하기 싫을 때 정말 요긴하게 썼어요.
또 상담 요청하고는 싶은데 내 번호는 공개하고 싶지 않을 때도 있고요. 그리고 일하는 분들 중에도 고객 응대할 때 본인 번호를 숨기고 싶은 경우가 많잖아요.
이럴 때 발신자번호표시제한 방법을 알면 정말 마음 편하게 전화를 걸 수 있어요. 물론 나쁜 의도로 쓰면 안 되지만요, 내 개인정보 지키는 용도로는 정말 최고예요.
이 기능 쓸 때 주의할 점
모든 게 다 장점일 순 없죠~ 발신자번호표시제한 방법을 사용하면요, 요즘 워낙 스팸전화가 많다 보니까 일부 사람들은 아예 받질 않아요. 또 어떤 기관은 발신자번호 숨긴 전화를 자동으로 차단하기도 하더라고요.
그러니까 은행이나 관공서, 병원 등 중요한 데 전화하실 땐 숨기지 말고 거는 게 좋아요. 그리고 112나 119처럼 긴급 전화에는 이 기능이 안 먹혀요. 그런 건 시스템상 무조건 발신자 번호가 전달되도록 되어 있어요. 그러니까 정말 필요한 상황에서만, 꼭 목적이 있을 때만 쓰시는 걸 추천드려요.
내 전화 안 받을까 봐
이런 경우도 있어요. 예를 들어 내가 번호 숨기고 전화 걸었는데, 상대방이 ‘번호 안 뜨는 전화 안 받는다’고 해버리면 어쩌지? 싶으실 수 있어요. 그래서 한 번은 숨기고 걸어보고, 연락이 안 되면 다음엔 일반 번호로 다시 걸거나, 문자로 먼저 연락하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에요. 괜히 번호 숨겼다가 오해만 사는 경우도 있으니까요. 그러니까 언제나 발신자번호표시제한 방법은 적재적소에, 상황에 맞춰 쓰는 게 제일 좋더라고요.
발신번호 숨기기 차단하고 싶을 때
반대로 나는 ‘발신번호 없는 전화는 무조건 차단하고 싶다!’ 하시는 분들도 있죠? 그것도 가능합니다. 각 통신사마다 '익명발신 거부' 같은 부가서비스가 있어요.
통신사 앱이나 고객센터 전화해서 신청하면, 앞으로는 번호 안 뜨는 전화는 아예 수신이 안 되도록 설정할 수 있어요. 요즘은 스마트폰에 그런 기능 있는 앱도 많고요. '후후'나 'T전화' 같은 앱 쓰시는 분들은 거기서도 설정할 수 있어요.
마무리하며
이웃님들, 번호 숨기고 전화를 건다고 해서 나쁜 건 아니에요. 나름의 이유가 다 있는 거니까요. 중요한 건 이 기능을 제대로 알고, 적절하게 쓰는 거예요. 그리고 발신자번호표시제한 방법은 누구나 쓸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, 정확히 모르시는 분들이 많아서 오늘 이렇게 길게 풀어드렸어요. 실제로 저도 처음엔 번호 숨기는 거 어떻게 하는 건지 몰라서 여기저기 찾아보고 한참 헤맸었거든요.
이 글 보신 이웃님들께서는 이제 당황하지 마시고, 번호 숨기고 싶으실 때는 #31#만 딱 붙이셔서 활용하시고, 자주 숨기셔야 하는 분들은 설정에서 아예 옵션을 꺼두시면 됩니다. 이거 하나만 알아두셔도 전화 스트레스 절반은 줄어요. 그럼 오늘도 조심조심, 안전한 하루 보내시고요, 다음엔 더 유익한 정보로 다시 찾아올게요! 😊